경계성 성격장애 – 뜻, 원인, 증상 7가지, 치료

 

 

경계성 성격자애 뜻 원인 증상 치료

경계성 성격장애 뜻

정서적, 행동, 대인관계 등에서 변덕스럽고 예측이 불가능한 성격장애의 일종입니다. ‘경계성’이란 명칭은 신경증과 정신증의 “경계”를 넘나드는 특징을 갖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경계성 성격장애에 대해서 처음에는 조현병과 같은 정신증의 변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신경증의 범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허무함과 극단적인 감정을 오가며, 자제력이 부족하며, 자기 파괴적입니다. 타인을 쉽게 믿었다가 상처도 쉽게 받습니다. 기본적으로 매우 불안정해서 폭식, 사치, 반복적인 자실 시도 등 위험한 행동이 많습니다.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에 어려움이 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습니다. 경계성 성격장애로 인해 개인적 기능 손상과 자살의 위험은 20대에게서 가장 많고 나이가 들면서 위험성은 낮아집니다.

경계성 성격장애는 일반 인구의 약 2% 정도라고 추정합니다. 전체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중 30~60%가 경계성 성격장애에 해당 될 만큼 성격장애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경계성 성격장애 원인

부모나 형제 중 경계성 성격장애가 있는 경우 경계성 성격장애가 생길 확율이 수 배 높아집니다. 따라서 유전적인 영향이 있다고 보여지며, 타고난 정서적 민감성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신경생물학적 요인으로 정서 조절 및 충동성과 관련된 대뇌 신경 조절 영역의 신경 생물학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다음은 아동기 때 겪은 외상 경험은 경계성 성격장애의 발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아동기에 일어난 신체적 학대 혹은 성적 학대는 평생 벗어나지 못하는 후유증을 남깁니다. 학대를 가한 가해자에 대한 분노, 적개심은 불특정 타인에 대한 불신과 경계심으로 번집니다. 학대를 계속 받으면서 그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무력감으로 심각한 상처를 입습니다.

애정이 결핍되어 있거나 애착관계가 불안정한 경우에도 경계성 성격장애가 나타납니다. 부모가 아동에게 필요한 정서적 안정감과 보살핌을 하지 않았거나, 부모 자신이 부정적이고 안정적이지 못했을 때에도 경계성 성격장애가 나타납니다. 아동은 심각한 정서 혼란이 오고 만성적인 우울감을 경험하며 건강하지 못한 심리적 발달을 하게 됩니다. 일관되지 못한 부모의 양육 태도는 동일 인물에 대한 상반된 이미지로 분리가 일어납니다.(예:나를 예뻐해주는 좋은 부모와 나를 혼내는 나쁜 부모) 이것은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이분법적으로 바뀌고, 경계성 성격장애자가 대인관계에서 관찰되는 특징입니다.

또 부모의 이혼이나 소중한 사람의 사별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상실의 경험은 정서적 빈곤을 초래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을 자신의 탓으로 돌려 강한 죄책감을 느끼게해 평생 불안정한 정서 및 대인관계를 맺게됩니다.

 

 

경계성 성격장애 증상 7가지

1. 불안정한 정체성

” 나는 어떤 존재인가?” 라는 물음에 대한 자신의 답을 정체성이라고 합니다. 경계성 성격장애는 자신에 대한 자아상과 정체성에 대한 혼란이 큽니다. 스스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무엇을 원하는지 등 삶의 목적을 잃고 방황합니다.

잠재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진로를 자주 바꿉니다. 자신에게 의미있게 여겨진 것들이라도 시간이 지나면 무의미하게 느낍니다.

‘텅 빈 것같은 느낌, 빈껍데기 같은 마음, 허전하고 허무함’ 이런 공허감을 자주 표현하는 것이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의 특징입니다.

2. 불안정한 대인관계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은 공감능력(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합니다. 또 상대방을 대할때 전부 좋다 혹은 전부 나쁘다 식의 이분법적인 방식으로 사람을 평가합니다. 누군가가 약간의 호의만 주어도 나에게만 엄청난 호의를 준 것처럼 생각해 좋은 사람으로 평가하지만, 반대로 조금이라도 배신의 기척이 느껴지면 나쁜 사람으로 평가해 형편없고 무능한 사람으로 상대방을 무시하고 비하합니다. 같은 사람에 대한 극단적인 상반된 평가로 상대방은 과대이상화된 좋은 사람이 되기도 하고, 최악의 형편없는 존재가 되기도 합니다.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매우 당황스럽고 억울한 상황이되고,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는게 어렵게 됩니다.

3.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은 사람들에게 거절이나 무시 당하는 것에 대해 일반 사람들보다 훨씬 더 큰 두려움을 갖고 있습니다. 자신을 어떻게 대하는지 혹시 자신을 버리지 않을지 확인을 요구하며 끊임없이 걱정합니다. 자신을 믿어주고, 믿는 사람을 의심하고 경계했다는 사실에 자신을 자책합니다. 타인을 믿거나 의지하는 것을 상당히 경계하지만 실제 패턴은 사랑, 인정, 관심에 목말라 하기 때문에 애정과 관심을 요구합니다. 사소한 갈등 상황에서 관계가 상실할 위기에 처했다고 생각하여 심한 불안한 집착, 우울감, 분노 폭발 등으로 매우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예: 자신이 원할 때 애정표현을 해주지 않거나, 의견이 맞지 않아 말다툼을 하게 되었을 때 등)

4. 정서적 불안정성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의 정서 상태는 매우 불안정하여, 대인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 심한 초조함, 긴장, 공황같은 강렬한 감정 반응을 보입니다. 뚜렷한 이유가 없어도 항상 화가 나 있고 자주 분노를 폭발합니다. 또한 폭언을 일삼고 결국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미래에 있을 상황에 대해 부정적인 결과를 상상하여 극심한 공포를 경험합니다. 또 자신의 작은 실수 혹은 타인의 거절에 수치심, 무력감, 죄책감을 느껴 우울한 반응이 일어납니다. 우울함과 죄책감의 감정들이 너무 크다 보니 자신의 감정에 압도되어 충동적인 자해 행동이나 자살 시도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5. 충동성

특정한 충동이 있을 때 통제가 불가능합니다.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위험하고 자신이나 타인에게 손상을 주는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도둑질, 무분별한 과소비, 성관계, 위험한 운전, 약물 남용 등입니다. 언제 어떻게 행동할지 예측이 안되다보니 일반 생활과 직장 생활, 대인관계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6. 반복적 자해 및 자살 행동

경계성 성격장애에 가장 큰 문제는 반복적인 자해와 자살 시도입니다. 충동 통제가 어렵기 때문에 충동적으로 자해 혹은 자살을 시도합니다. 상대방에 대한 분노의 표현, 버림받지 않으려는 절박함의 수단이 되기도 하고, 비참하고 절망적인 느낌에 대한 대안으로 이런 행동을 보입니다.  근본적으로 자존감이 낮아 자기 비난과 애정 결핍, 불안정한 정체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7. 정신병적 증상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은 스트레스로 인해 순간적인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누군가 나를 해칠 것 같은 피해 사고와 모든게 진짜 같은 느낌이 들지 않는 경험 혹은 내가 내 자신과 격리되어 있는 것 같은 경험인 심한 해리 증상을 경험합니다. 이런 증상들은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시간이 지나면 진정됩니다.

 

경계성 성격장애 치료

약물치료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의 우울감, 충동적 행동 등을 완화 시켜 줄 수 있습니다. 동반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약물 치료를 하게됩니다. 약물 치료에 대해 의심하여 약물 남용할 위험성이 있어 신중하게 치료해야 합니다.

증상1. 기분 불안정, 경조증, 순환성, 충동 통제 안됨

증상2. 우울, 과민성, 충동성, 분노, 강박행동, 적대감, 민감성, 자해

증상3. 적대감, 편집, 정신적 퇴행, 경도의 사고 혼란, 비합리적인 사고

증상4. 불안 증상

증상5. 동반질환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성인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약물남용, 심한 해리장애 등

 

정신치료

약물만으로는 근본적인 치료는  어려워 정신치료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정신치료는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정신치료에서 성격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려면 준비기간이 상당합니다. 초반기에 신뢰감을 형성하고 실질적인 문제에 초첨을 맞추어 치료를 진행합니다. 환자들은 치료자와 협조적인 치료 관계를 유지해야하는데,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은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과거에는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 정신질환으로 경계성 성격장애를 꼽았습니다.

하지만 최근 경계성 성격장애를 위한 새로운 정신치료 기법들이 개발되었습니다. 사랑을 받지 못한 환자에게 지지요법을 통해 트라우마를 치유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이 대두되면서 스키마 치료(schema therapy), 변증법적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마음헤아리기치료(mentalization-based treatment),
전이초점정신치료(transference-focused psychotherapy) 등이 시도되고 있으며, 효과가 있다는 논문들이 상당수 나오고 있습니다.

경계성 성격장애의 치료 목적은 자해나 자살 시도, 약물의 남용과 같은 충동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안정화 시키는 것에 있습니다. 환자들이 혼란스러워할 때 감정적으로 공감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최대한 한결같은 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일관적으로 반응하고 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을 떠날 것이라는 불안감이 들지 않게 하면 정신적인 안정감을 찾고 변덕이 덜해지고, 안정감을 주는 것이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나이에 따른 자가 검진 >> 클릭]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뜻, 원인, 증상 >> 클릭]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진단, 치료 >> 클릭]

Leave a Comment